너와 나의 이야기 (타로, 명리학)

신년운세(나의 생일로 보는 타로 신년 운세)-3편

복숭아빛 시간 2020. 10. 30. 09:27
반응형

 

신년운세를 볼 때, 단순 내년 운이
"좋다 나쁘다"로 접근하시면 안돼요.

(실제로 무조건 좋거나 나쁜 해는 없어요)

 

새로운 해를 준비하고 계획하는 마음으로
보시는 것이 타로카드의 핵심입니다.

 

앞의 포스팅에서
나의 내년 타로 카드 계산법을
알려드렸으니,
이제 #내년 타의 타로카드 넘버를 알고 계신 거죠?ㅎ

2020.10.29 - [너와 나의 이야기 (타로, 명리학)] - 신년운세(나의 생일로 보는 타로 신년운세)-2편

 

신년운세(나의 생일로 보는 타로 신년운세)-2편

생일로 보는 타로카드 신년운세 쭉쭉 정리해볼게요~! 내년 타로카드를 보기 위해서는 일단 나의 생월일에 내년 연도의 2022 즉 숫자 2+2+2=6을 기억하고 계셔야겠죠? 타로카드 7번, 8번은 아래 포스

flowerjy.tistory.com

 

2021년 신년 타로카드 운세입니다.
나의 내년 타로카드가 11번의 경우

#11번 정의 카드(Justice)
이 시기에는 무엇이 되었든 빨리 결정하고
결단해야 함을 의미해요.
내년 카드가 11번 정의 카드가 나왔다면
무엇인가를 결정해야만 하는 일이 생길 거예요.
위의 타로카드 그림을 보면,
한 손에는 저울을,
다른 한손에는 칼을 들고 있는
의의 여신이있어요.
결정의 의미로 봤을 때,
이 그림은
충분히 고려한 후
하나를 결정했으면 나머지 하나는
단칼에 끊어 내야 함을 말하고 있죠.

사실 우리가 어떤 선택을 할 때,
힘든 이유는 최고의 선택을
하려고 하기 때문이잖아요.
그러나 100% 맞는 정답이 있을까요??
어차피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
나머지 하나는 필연적으로
놓아야 하는 거예요.

그렇다면 어떤 선택을 하든
생기는 손실에 연연하지 말고,
내가 선택하지 않은 것을 과감하게 버리고
내가 선택한 것에 집중해야 함을 의미해요.

이 시기가 되면 이질적인 두 가지
가치가 서로 상충하며 내면에서 갈등을 불러일으켜
쉽게 결정을 내릴 수 없게 될 수도 있어요.
그러나 내가 결정을 미룬다고 해도
어느 쪽으로든 결정이 나니
이 해에는 빠른 결정이 중요해요.
어느 쪽이든 빨리 선택하고, 나의 결정에
집중하며 실행에 옮기는 해로 삼으면 좋을 것 같아요.

 

나의 내년 타로카드가 12번의 경우

#12번 매달린 남자 카드(The hanged man)
상황을 벗어나려 애쓰지 말고 내려 놓아라.
이 카드를 보면, 카드를 거꾸로 놓았나??
하실 수도 있어요.
그러나 거꾸로 매달린 남자가 맞아요.
카드 속 남자는 발 하나가 거꾸로 매달려 있어요.
그러나 별로 힘들어 보이지도 않죠?
불편한 상항에 전혀 동요하고 있지도 않고요.
내년 타로 카드가 12번 매달린 남자라면
그냥 조금 마음을 내려놓고 시작하시는
것이 좋을 것 같아요.
거꾸로 매달려 있는 남자가,
그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발버둥 친다면
어떨까요??
아마... 더 힘들고 지칠 거예요.

즉, 이 시기에는 나의 의지로 무언가를 바꾸거나
달라지게 하기 어렵다는 것을
인정하고 자신의 상황 속에서 즐거움을 찾으며
버티는 것이 나을 수도 있어요.
지금 당장 할 수 것은 없어도
거꾸로 매달린 남자는
세상을 다른 시선으로 볼 수 있는 힘과
자신의 한계를 정확하게 바라볼 수
있는 기회를 얻게 되는 거죠.
내년이 12번의 카드라면 새로운 것을 시작하기보다
그냥 가만히 유지하는 것이 좋아요.
매달린 남자가 내려오듯,
가만히 있으면 결국 해결 될 거예요.


자기 생일에 해당하는 카드가 없다면...?

타로 카드도 계속 올라옵니다.!!

타로카드 13번, 14번은 요기~

2020.10.31 - [너와 나의 이야기 (타로, 명리학)] - 신년운세(나의 생일로 보는 타로 신년 운세) -4편

 

신년운세(나의 생일로 보는 타로 신년 운세) -4편

나의 내년 타로카드를 계산하는 방법을 아직 모르신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. ↓↓↓ 2020/10/29 - [너와 나의 이야기 (타로, 명리학)] - 신년운세(나의 생일로 보는 타로 신년운세)-1 신년

flowerjy.tistory.com

 

반응형